Go to the Contents
Go to the menu
arirang news
LANGUAGE
KOR
ENG
HOW TO WATCH
The World On arirang
On-Air
TV
Radio
Schedule
TV
Radio
News
Video
Travel
Food
K-Pop
Learn Korean
search
Digital News
Nat'l/Politics
North Korea
Economy
IT/Science
Foreign Policy
World
Life/Culture
Sports
Weather
lastest news
Hyundai Motor Group chairman discusses hydrogen alliance with SK Group chairman
Blizzards in Gangwon-do Province cause traffic chaos, shut down schools
S. Korean gov't hopes to spend US$ 17.4 bil. on 4th round of disaster relief funds
S. Korea's Lee Yang-hee part of new Special Advisory Council for Myanmar
Brief cold spell until tomorrow morning... ocean wave alert for most coastal are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revolutionizing pet care
'Minari' wins best foreign language film at Golden Globes
Security chiefs of S. Korea, U.S. reaffirm commitment to dealing with N. Korea
Aung San Suu Kyi faces fresh charges in latest court hearing
S. Korea, U.S. politicians discuss N. Korea and pending issues
AOD List
start
pause
Full Video
VOD List
RADIO AOD
facebook
twitter
Killed in Action Recovery and Identification Project
참전용사 유해발굴 사업
1950년 6월 25일은 한국전쟁이 일어난 날로, 한국에서 매년 6월은 나라를 위해 희생한 이들을 기리는 달이다.
그러나, 희생정신을 기리기에 앞서 유해조차 찾지 못한 참전용사들이 있다.
한국 전쟁 당시, 수습되지 못하고 산야에 남겨진 한국 군인은 모두 13만 명!
참전용사들을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내기 위해 지난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유해발굴 사업!
발굴, 감식에 전문지식을 갖춘 장병 200여명이 또 다른 전장에서 고군분투하고 있다.
발굴장비는 삽 한 자루가 전부! 유해 훼손을 막기 위해 가파른 산을 일일이 파야한다고...
최소 170개 지점을 파야 유해 1구를 발견할 수 있다.
발굴된 유해는 신원확인을 통해 가족에게 인계되지만, 가족을 찾을 수 없는 유해는 현충원에 안치된다
10년간 발굴한 참전용사 유해는 9500여 위, 이중 가족의 품으로 돌아간 이는 1%인 121명뿐...
고령의 유가족들이 세상을 떠나 신원을 대조할 가족의 DNA가 없기 때문!
토지개발과 유해 부식 등으로 유해발굴과 신원확인은 시간과의 싸움이 된 상황!
6.25전쟁이 일어난 지 67년! 참전용사 모두 가족에게 돌려보내는 일이야 말로 호국보훈을 실천하는 길...
한 명의 전사자라도 찾기 위한 유해발굴단의 작업과 국민들의 염원은 지금 이 순간에도 계속되고 있다.
"단 한명의 전우도 전장에 남겨두지 않는다"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