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World Ch. Schedule : KST
* Date : 2013-12-09
.gif)
.gif)
.gif)
.gif)
.gif)
.gif)
1년 365일, 한국인의 밥상을 책임지는 김치!
추운 겨울이 다가오기 전 한 달 동안 전국의 모든 가정에서는 겨우내 먹을 김치를 준비하는 '김장'을 하느라 대한민국 곳곳이 들썩인다.
단순한 반찬 그 이상의 의미로써, 수백 년간 손끝으로 전해져 내려온 한국인의 생활 습관, 김장!
한국인은 왜?
같은 시기에, 이토록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엄청난 양의 김치는 담그는 것일까.
도대체 한국인에게 있어 '김장' 은 무엇일까.
아리랑스페셜 한국의 무형문화유산 특집다큐멘터리 <김장하셨어요?>에서 한국 김장문화의 모든 것을 밝힌다.
한국인들이 김치를 먹었다는 기록은 이미 13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고, 800여 년 전인 고려시대의 문헌 '동국이상국집’에 처음으로 김장에 대한 기록이 등장한다.
그리고 18세기 이후 고추와 배추가 전래되면서 외래문물과 적극적으로 결합된 김치는 배추김치 중심의 김장문화를 만들어 내면서 수백 년이 흐른 지금까지도 발전을 거듭하며 계속되고 있다.
농촌, 도시, 섬마을, 사찰 등 대한민국 방방곡곡에서 가족, 친지, 이웃이 모두 함께 모여 담그는 김장문화는 우리 민족 고유의 공동체 정신과 품앗이 문화를 보여주는 문화의 정수다.
그 생생하고 다양한 김장 현장을 담았다.
그리고 김장김치를 저장하는 과학적인 원리를 통해 한국인들의 삶의 지혜와, 김장문화에 담겨있는 한국 특유의 '정', 나눔의 정신까지 살펴볼 수 있다.
찬바람이 불면 한국인은 이웃에게 묻는다.
"김장 하셨습니까?"